코리아나이야기

나가시기 3탄 이야기

웅대한돌산 2009. 11. 26. 10:08

한일 야생화 비교와 감상
[범선타고 일본여행 3] 야생화

 

일본의 마가렛.우리나라와 별 차이 없죠?

 

결혼 직전의 신부가 그의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처럼 꽃은 어디서 보든 멋스럽고 예쁩니다. 일본에서 야생화를 볼 것이라 기대 안했는데 뜻밖이라 적잖이 놀랐습니다.

 

토끼풀, 괭이밥, 제비꽃, 방가지똥, 살칼퀴 등은 한ㆍ일 비교가 가능해 반갑습니다. 꽃의 분포도 이해할 수 있고요. 참, 일본 야생화 사진은 나가사키시 이오지마 섬, 후꾸다 Sunset Marina 주변, 사이카이시 오오시마 섬에서 찍은 것입니다.

 

우선, 토끼가 즐겨 먹어 이름 붙은 토끼풀부터 비교해 보시죠. 일명 ‘시계풀’, ‘클로버(Clover)’라 불리는 토끼풀은 유럽이 원산지입니다. 세 잎은 성부ㆍ성자ㆍ성령의 삼위일체를, 혹은 국민성ㆍ용기ㆍ기지를 상징합니다. 네 잎의 토끼풀은 행운의 상징이어선지 꽃말은 약속ㆍ행운ㆍ평화를 의미합니다.

 

한국의 토끼풀(좌)과 일본의 토끼풀.

우리 괭이밥.

 

일본에서 본 괭이밥(노란 색)과 자주괭이밥

 

작고 귀엽고, 크고 탐스러운 ‘토끼풀’

 

우리의 토끼풀은 줄기와 잎이 작고 귀여운 맛이 있는데 반해 일본은 크고 탐스럽습니다. 작은 토끼와 큰 토끼를 연상하면 될 듯합니다. 아마, 기후 탓이라 여겨집니다.

 

괭이밥은 3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 봄부터 여름까지 잎겨드랑이에 노랗게 핍니다. 밭이나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풀 전체에 가는 털이 나고 뿌리를 땅속 깊이 내리며 그 위에서 많은 줄기가 나와 옆이나 위쪽으로 비스듬히 자랍니다.

 

괭이밥은 나물 맛이 시큼하다 하여 시금초 혹은 작장초(酢漿草)라 불리기도 합니다. 한국ㆍ일본ㆍ타이완 등 아시아와 유럽ㆍ북아프리카ㆍ호주ㆍ아메리카 등 세계적으로 분포합니다.

  

일본의 서양제비꽃(좌)과 우리나라 제비꽃.

 

우리 제비꽃과 서양제비꽃도 감상 하세요

 

다음은 제비꽃입니다. 제비꽃은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올 때 피는 꽃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또 오랑캐꽃이라 불리며, 주로 산과 들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제비꽃은 종류가 다양합니다.

 

일본 오오시마 다리 부근의 관광안내소 화단에서 본 제비꽃은 원예종으로 팬지라고도 하지만 ‘서양제비꽃’이라 함이 옳을 듯합니다. 한 곳에 다양한 종의 제비꽃을 심어 한꺼번에 감상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습니다.

 

방가지똥 국화과 풀로 줄기 높이가 1m 가량이며 속은 비었습니다. 잎과 줄기를 꺾으면 젖과 같은 흰 진이 나옵니다. 초여름 가지 끝에 누른빛의 두상화가 방상 꽃차례로 피고, 꽃이 진 뒤에 씨가 바람에 날려 흩어집니다.

 

방가지똥 홀씨는 민들레와 흡사합니다. 민들레는 토종민들레와 서양민들레로 나뉘는데 대개 흰 꽃은 토종입니다. 토종은 서양민들레 홀씨는 받아들이지 않고 토종만 받아들이며, 서양민들레는 종을 가리지 않고 홀씨를 받아들여 번식력이 강한 게 특징입니다.

 

일본의 방가지똥과 우리나라 방가지똥(우측 상단)

 

토종민들레와 일본의 방가지똥 홀씨(좌측 상단)

 

자연의 이치는 함께 사는 ‘공생’

 

살갈퀴는 야완두라 불릴 만큼 완두콩과 흡사한 모습의 꽃과 잎을 지녔습니다. 산지의 낮은 곳에서 자라며, 꽃은 4~5월에 자주색으로 피어납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끝이 뾰족합니다.

 

작은 잎이 3~7쌍 정도 있고, 맨 끝의 잎은 덩굴손으로 변해서 다른 식물을 감고 올라갑니다. 살갈퀴는 번식을 위해 꿀벌에게 꿀의 소재를 알리는 표지로 위 꽃잎을 우뚝 세우고 있습니다. 잎에 붙은 밀선에도 꿀을 준비하여 개미들을 불러 모으기도 합니다.

 

여기에서 상생의 묘미를 알 수 있습니다. 벌은 꽃에서 꿀을 취하고 씨앗을 옮겨 번식시키는 서로 돕는 삶을 엿볼 수 있습니다. 혼자만 살겠다고 아등바등 사는 우리네가 배워야 할 교훈입니다. 자연의 이치가 ‘공생’임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우리나라 살갈퀴와(좌), 일본의 살갈퀴.

 

이거, 꽃 이름이 뭐죠?

 

청초롬한 자태를 지닌 꽃의 이름은 뭐죠?

 

야생화 책을 뒤져봐도 모르는 꽃이 몇 있습니다. 야생화는 그저 보는 것만으로도 즐거우나 이름까지 안다면 더욱 좋겠지요. 가르침을 바랍니다. 뿌리와 잎, 줄기 등을 골고루 찍어야 하나 그렇지 못했습니다. 쉬이 찾을 거라 생각했거든요.

 

연보라 빛의 꽃은 오오시마 섬 유리가타케 공원에서 찍었는데 청초롬한 자태가 너무 예쁩니다. 그리고 흰색과 연분홍이 섞여 있는 꽃은 장구채 같기도 한데 아닌 것도 같습니다. 꽃잎이 다섯 개입니다.

 

또 흰색과 연분홍이 있는 이 꽃은 국화과 같은 잎을 가졌으나 꽃은 국화과와는 거리가 있는 듯합니다. 이 두 야생화는 후꾸다 Sunset Marina에서 찍었습니다. 야생화까지 비슷한 걸로 봐서, 한국과 일본은 정말 가깝고도 먼 나라인 것 같습니다.

  

무슨 꽃이죠?

 

이 꽃도요?

이글도 임현철님이 쓴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