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나이야기

나가사기 14탄 이야기

웅대한돌산 2009. 11. 26. 10:53

박 기자!

 안녕

잘 쉬는가.

'범선타고 일본여행 14-어류양식 실태'네

 

 

우리와 비교한 일본의 바다양식 실태는?

사료난에 허덕이는 일본…공급은 딸려
[범선타고 일본여행 14] 어류양식 실태

 

여수시 안도, 바다 양식장.

 

“어민의 꿈은 언제나 만선이었다. 만선 깃발을 달고 선창으로 들어오는 날, 아이들은 머슴밥처럼 봉긋 솟은 쌀밥을 배부르게 먹을 수 있었다. 그러다 차츰 배 부르는 횟수가 줄어들어 갔다. 어민의 꿈도 차차 물거품으로 변해갔다. 앞길이 막막할 따름이다. …”

 

이에 따라 어민들이 찾은 새로운 활로가 기르는 어업. 우리의 바다 양식은 1990년대에 시작됐다. 초기, 바다를 등졌던 사람까지 바다로 돌아오는 기현상을 보였다. 그리고 과잉 투자와 가격 폭락에 높아만 가는 사료값ㆍ기름 값 등으로 된서리를 맞게 된다.

 

비싼 연어까지 사료로 써, 결국 사료난에 포기

 

일본은 1980년대에 기르는 어업을 시작했다. 우리의 바다양식 현실과 비교해 일본의 실정은 어떨까?

 

확인을 차, 지난 4월 26일 나가사키시 이오지마를 방문했다. 무라카미 미츠루(村上滿, 71) 씨는 양식을 하게 된 계기에 대해 “처음에는 치어를 방류, 먹이를 주면 고기가 돌아올 것으로 생각하고, 이를 잡을 해양 목장으로 계획했다.”면서 하지만 “물고기가 돌아오질 않아 바다양식을 하게 됐다.”고 증언한다.

 

그는 “이오지마에서는 1985년부터 2005년 전까지 양식을 했으나 사료 구하기가 힘들어 문을 닫았다.”며 “비싼 연어까지 사료로 써 보았지만 타산이 맞질 않아 포기하고, 지금은 양식하는 곳이 한 군데도 없다.”고 말한다. 덩그러니 육상시설만 남아 있다.

 

또 무라카미 미츠루 씨는 어업에 대해 “대하ㆍ새우ㆍ전갱이 등을 잡는데 과거에는 수 십 킬로씩 잡았으나, 지금은 거의 잡히지 않아 대부분 어부를 접고 있다”며 “더욱 심각한 것은 뒤를 이을 세대가 없다”고 전한다. 우리나라나 일본이나 매 한가지다.

 

3년 전 폐업한 일본 이오지마의 양식장.

 

양식 기술 유출에 신경 쓰는 일본

 

이오지마에 이어 4월 27일, 요시카와 토시오(吉川俊雄, 77) 씨와 “양식장이 몰려 있다”는 나가사키현 사이카이시 오오시마 섬으로 향했다. 이곳은 주로 “광어ㆍ도미ㆍ복어” 양식이 주종을 이룬다.

 

오오시마. 건너편으로 조선소가 보인다. 양식장 부근에 조선소가 있다니 의외다. 해양오염 여파로 양식이 될까 싶다. 군데군데 가두리가 보인다. 가두리 개수로 봐선 대규모는 아닌 것 같다. 그런데 우리와는 달리 해변 육지에 규모 있는 양식시설이 즐비하다.

 

한 수산종묘장. 일요일, 쉬는 날이라 사람 찾기가 힘들다. 20대 전후의 한 젊은이를 만난다. 인터뷰를 요청하자 “기밀이 많은 양식 기술의 외부 유출 등을 우려해 일절 하지 마라”는 지시에 따라 거절한다. 양식장 구경을 포기하고 스탠딩 인터뷰를 할 밖에.

 

오오시마의 바다 양식장.

 

복어 등 육상 양식이 주류, 이유에 대해 배워야

 

“양식장의 규모는 어느 정도인가?”
“말할 수 없다. 이해해 달라. 현재 17명이 고용되어 일한다.”


“바다 위 가두리에서 물고기를 기르는가?”
“(옆의 시설을 가리키며) 육상에서 기른다.”


“바다 위 가두리는 어떤 용도인가?”
“바다의 시설들은 고기를 출어 할 때 잠시 내어 두는 곳이다.”

 

의문이 풀린다. 조선소 인근에서 양식이 가능한 건 육상 양식 때문이다. 바다 양식의 경우 태풍ㆍ적조 등의 자연재해에 무방비인데 일본은 그럴 우려가 없다.

 

참고로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태풍과 적조로 발생한 양식업의 피해 규모는 1천300억 원으로 추산된다.

 

물론 우리나라도 과거 육상양식을 했다. 바다와 달리 육상 양식은 사료값과 치어값 외에도 24시간 전기를 가동해야 하는 등의 부대비용이 만만찮다. 여기에 값싼 수입 어류와의 경쟁으로 판매 단가마저 폭락, 대부분 육상 양식을 접었다. 그런데 일본은 육상 양식을 하고 있다. 아니 육상 양식이 주류다. 그 이유를 배울만하다.

 

우리나라는 지난 해 적조로 많은 피해를 당했다. 사진은 지난해 폐사한 줄돔.

 

대규모 복어 양식 중인 일본

 

“양식하는 지역은?”
“오오시마 주변과 나가사키현에서 많이 한다. 또 규수, 시코구 지역에서도 한다.”


“이곳은 언제부터 양식을 하였는가?”
“20여년 됐다.”

 

“양식 어종은?”
“광어와 복어다. 복어도 자지복을 한다.”


“복어 양식은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
“말할 수 없다.”

 

복어는 양식하기 힘든 어종이다. 우리나라는 최근에야 복어 양식 배양에 성공했다. 일본은 이미 대규모 복어 양식을 하고 있다. 인터뷰 회피에서 기술 유출에 대한 그들의 경계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한다. 기술 전쟁의 시대임을 실감한다.

 

“사료는 무엇을 쓰는가?”
“새우, 정어리, 전갱이 등을 갈아 비타민과 섞어 먹인다.”


“사료 품귀 현상으로 양식의 어려움이 많다던데 사정은?”
“말할 수 없다.”

 

이곳도 사료 구하기가 힘든 모양이다. 우리도 조만간 예상되는 문제다. 우리나라는 물고기 생사료와 배합사료를 섞은 혼합 사료를 먹인다. 지난 해 고등어 생사료는 20㎏에 5천 원 선, 배합사료는 20㎏에 2만 원 선. 보통 가두리 당 사료 값은 500만원 선.

 

우리는 현재 사각형 가두리 양식에서 원형의 바다 목장 형태로 바뀌고 있다.

 

공급이 딸린다는 일본에서 우리 어민의 한숨이 떠오르고…

 

“고기는 어느 정도 키워 출하 하는가?”
“말할 수 없다.”


“판매는 어느 정도인가?”
“소비가 생산량보다 많아 잘 팔린다.”

 

우리나라에서 키운 고기를 상품으로 내기까지 기간은 보통 3년. 2~3㎝ 되는 새끼 치어를 가져다 키우기 때문이다. 일본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더 이상 인터뷰를 할 수 없다는 말. 그나저나 수요에 비해 공급이 딸린다니 부럽다. 이런 경제법칙에선 양식업이 문 닫을 리 없다.

 

우리나라도 IMF 전만해도 양식 사업은 노다지였다. 한해 수억 원의 수익을 올리는 노다지. 이후 많은 사람들이 몰려 하강 국면으로 전락했다. ‘업친 데 덮친 격’ 유가 폭등으로 면세용 경유도 1드럼 11만원대에서 18만원대로 치솟아 더욱 힘든 상황이다.

 

“살 길이 막막하다”는 우리나라의 한 양식 어민의 말이 귓가를 맴돈다. 지는 해를 바라보며 씁쓸한 마음으로 나가사키시로 돌아온다.

 

일본의 오오시마 수산종묘장의 가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