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잦은 연휴, 다들 잘 보내고 있는지요?
저는 기사 쓰느라 바쁘게 지내고 있습니다.
범선타고 일본여행 10편으로 '이오지마 섬의 변화' 편입니다.
함께 한 여행에서 다들 느끼는 게 다르겠지만
저는 이런 시각에서 보았으니
부족한 점이 있다면 이해 바랍니다.
혹 틀린 곳이 있으면 수정해 주시길...
항상 건강과 가정의 행복을 기원합니다. -- 임현철 드림.
“우연한 요트 행사가 '관광 섬'으로의 계기”
[범선타고 일본여행 10] 이오지마 섬의 변화
나가사키시 범선축제와 연계한 요트 체험을 위해 오는 관광객을 맞이하는 이오지마 사람들.
우리나라의 섬들도 육지와 마찬가지로 개발이 모든 문제의 해결책인 것처럼 들떠 있다. 하지만 개발에는 차분하고 치밀한 준비가 필요하다.
이에 어두은 이미지의 ‘탄광의 섬’에서 밝은 이미지의 ‘관광의 섬’으로 변신에 성공한 일본 나가사키시 ‘이오지마’ 섬의 개발 과정과 애환들을 통해 준비해야 할 것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오지마는 자치 군이던 2005년 행정의 효율성을 추구하던 일본정부에 의해 반강제적으로 나가사키시에 편입되었다. 한때 인구는 7천여 명에 달했으나, 현재 2000여명으로 감소했다. 문제는 출산 등 자연감소가 아니라 주민이 섬을 떠나는데 있었다.
이오지마군 시절, 부군수를 역임했던 무라카미 미츠루 씨는 이곳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정확하진 않지만 후쿠오카에서 고기잡이 어선이 난파되어 7명이 7채의 집을 지어 거주했다는 설과 종교박해가 심한 나가사키에서 그리스도교 사람들이 피해왔다는 설 등이 있다”고 전한다.
탄광 역사 자료관의 이오지마 섬 자료들.
폐광 후, 산업 유치 무산 등으로 희망 잃어
반농반어로 생활하던 이오지마는 1941년 석탄이 발견된 후, 40만t을 채굴할 만큼 번창하기도 했다. 1972년 광산의 폐광으로 내리막을 걷는다. 이후 경제 활성화를 위해 액화가스기지 건설을 추진했으나 규제와 반발 등으로 무산됐다. 희망이 사라지면서 이오지마는 점차 생기를 잃어갔다.
그러다 1985년 요트레이스를 계기로 해양관광의 섬으로 변화를 추구하게 됐다. 1988년 민자로 리조트와 스포츠 시설 등 해양스포츠ㆍ관광위락시설을 건설, 관광객을 모은다. 시설 초기 운영이 잘됐으나 결국 파산의 과정을 거친다. 이후 시의 지원으로 시설 인수자가 나서고 온천 개발 호재까지 등장, 재기에 성공한다.
이에 지난 4월 26일, 무라카미 미츠루(村上滿, 71)ㆍ혼다 마사가즈(本子正和, 53) 씨를 각자 만나 이오지마의 변화 과정과 주민의 삶에 대해 인터뷰를 가졌다. 다음은 인터뷰 내용을 재구성한 것이다.
무라카미 미츠루(村上滿, 71, 좌)ㆍ혼다 마사가즈(本子正和, 53, 우)
해양관광단지 조성 후, 파산ㆍ회생 등의 과정 거쳐
- 이오지마를 자랑하면?
“순박하고 소박한 곳이다. 사람들이 정이 많아 관광객을 잘 맞이한다.”
- 관광 섬으로 개발 과정은 어떠했나?
“탄광이 폐광된 후 먹고 살기가 어려워 사람들이 떠나갔다. 살기 위해 나선 액화가스기지 등의 산업 유치가 규제와 관청ㆍ학교 등과 너무 가까운 관계 등으로 불발되면서 발전에 대한 희망도 생기도 사라졌다. 우연히 1985년 공무원이 이오지마에서 요트레이스를 하면 어떨까? 하여 요트행사를 한 것이 관광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됐다. 이 행사에 2000여명이 찾아왔다. 이를 보고 주민들의 생각이 바뀌었다.
이후 자치단체에서 27백만엔의 사업비를 투자해 이오지마 개발 계획서를 만들어 해양관광 기업유치에 적극 나섰다. 우여곡절 끝에 1988년 2개 회사가 약 200억엔을 합작 투자를 시작했다. 골프장, 콘도, 리조트, 수영장 등의 시설들이 속속 들어섰다. 초기에는 스포츠 시설이나 호텔ㆍ리조트 등 운영이 잘됐다.
그러나 상류층을 대상으로 한 이익창출로 인해 기업이 파산했다. 부도 후 시에서 재정지원 등을 내세워 인수기업을 물색했다. 다행히 한 기업이 나섰고, 대중 관광에 초점을 맞춘 게 적중, 관광객이 몰렸다. 특히 2006년 해수온천이 발견되어 관광객 유치에 많은 도움이 됐다. 지금은 인근 나가사키뿐만 아니라 후쿠오카에서도 많이 온다.”
해수온천 모습.
사계절 관광 위해 온천개발…그러나 주민은 가난해
- 관광객 유치를 위한 주민들의 노력은?
“섬 전체가 홍보맨이 되었다. 해양관광은 특성상 겨울에는 휴업이다. 그래서 주민들과 기업이 사계절 관광을 위해 온천개발을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해수온천이 개발됐다. 온천양도 많고 온도가 높아 많이 찾는다. 또 범선축제 등과 연계한 요트, 카누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들을 맞기 위해 주민들이 전통 의상을 입고 춤을 추며 환영 세레모니를 펼친다. 또 환경정비나 바다청소 등을 한다.”
- 개발 이후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는가?
“개발은 주민들의 경제적 이익보다는 인구가 줄고 희망을 잃어가는 이오지마에 희망을 불어넣어 주었다. 주민들이 고용되어 새로운 소득을 창출하여 전체적으로 전에 비해 소득이 올랐다. 이에 반해 지역 상점은 점점 쇠퇴해 간다. 하나둘 사라지는 추세다. 여객선이 자주 다녀 도시에서 물건을 사오기 때문이다. 돈 버는 건 외지 사람들 몫이다. 이오지마 사람은 가난하다. 함께 살아가는 방법이 강구돼야 할 시점이다.”
- 이오지마의 미래상은?
“인생사는 변하지만 인간사는 변하지 않는다. ‘섬도 귀중한 존재’다. 도시생활에 지친 사람이 와서 건강을 되찾고 위로 받는 그런 곳이 되었으면 한다.”
- 하고 싶은 말은?
“바다에 둘러쌓인 섬은 바다가 깨끗해야 한다. 요즘 대마도에 한글이 쓰인 쓰레기가 많아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서로 노력해야 한다.”
이오지마 리조트.
여수시 안도에 밀려온 일본 쓰레기. 바다에는 한중일 등의 쓰레기 교류가 빈번하다.
'코리아나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가사기 12탄 이야기 (0) | 2009.11.26 |
---|---|
나가사기 11탄 이야기 (0) | 2009.11.26 |
나가사기 9탄 이야기 (0) | 2009.11.26 |
나가사기 8탄 이야기 (0) | 2009.11.26 |
나가사기 7탄 이야기 (0) | 2009.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