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요약 해 보기

[스크랩] [05강]피날레/보충과 정정 (完)

웅대한돌산 2013. 9. 22. 16:26

◈ 강좌를 시작하며...

본인도 피날레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사실밖에 모른다고 분명 1강에서 언급했다. 따라서 강좌를 진행하면서 갖고있던 레퍼런스도 들춰보며 많이 배웠는데, 강좌를 마치기 직전 혹시 더 도움될만한 내용이 있을까 하고 두꺼운 피날레 책자를 더 자세히 들쳐본 결과, 미처 전달하지 못한 유용한 내용 내지는 잘못 전달된 내용...이라기보다는 이미 전달한 내용 중에서 더 편한 방법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들을 종합하여 정리하고 정정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1) 1부

100MB라는 용량 제한 때문에 1부와 2부로 나누었다. 1부에서 다룰 내용은 아래와 같다.

* 가사 입력
 1) 빈 칸 넣기
 2) 가사 첫머리 자동정렬
 3) 가사를 모두 입력한 뒤 폰트나 사이즈 조절
 4) 어사인먼트를 통한 가사입력
 5) 가사 입력시 좌측에 생기는 4개의 삼각형 설명 (코드 입력이나 익스프레션에서도 동일함)

* 페이지
 1) 보표단 이동
 2) 여백

* 코드
 1) 코드간 이동
 2) 코드 입력
 3) 피날레에서 인식하는 코드 서픽스

* 단축키
 1) 음표대를 위/아래로 전환
 2) 빔그룹 설정과 해제
 3) 음표/쉼표 숨기기
 4) 손가락 번호 입력

* 기타
 1) 마디 내용만 지우기
 2) wav나 mp3같은 오디오 파일로 저장
 3) PDF파일 만들기와 아크로뱃 설정 (※ 아크로뱃이 설치되어 있어야 함)

위 내용에 대한 설명은 역시 아래 동영상으로 대체하겠다. 동영상으로 설명하니까 너무 편하다. 진작부터 동영상으로 할 걸 그랬다. 참고로, 보면 알겠지만 본인의 목소리를 숨기기 위해서(왜 숨겨?;)동영상 소리의 음높이를 높였는데, 때문에 동영상에서 악보를 재생할 때도 음높이가 높여진 채로 재생된다. 이 점을 양해해 주길 바란다. 특히 동영상 마지막 부분에서 피날레의 미디아웃과 마이크로소프트 미디아웃 음색을 비교하는 부분이 있는데 여기서 원래의 연주소리와는 큰 차이가 있다.


위 동영상에서 미처 설명하지 못한 보충설명을 좀 하겠다. 악보를 피날레 파일인 mus파일이나 미디(midi)파일로 저장할 수 있지만 mp3나 wav같은 오디오 파일로 저장할 때 생길 수도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 짚고 넘어가자. 혹시 이렇게 오디오 파일로 저장했는데 너무나도 볼륨이 크게 저장이 되서 도저히 듣기 힘들 수준의 파일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본인의 경우 거의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럴 땐 윈도우 볼륨 창에서 아래와 같이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볼륨 컨트롤] 부분의 음량을 거의 밑으로 낮춰보자. 대개 이 부분만 낮추면 되지만 만약 이렇게 해도 안되면 [웨이브] 부분도 함께 낮춰보고, 이래도 안되면 [SW합성] 부분도 함께 낮춰보자. 위 화면은 혹시나해서 [볼륨 컨트롤]과 [웨이브]와 [SW합성] 전체를 낮춘 상태다. 이렇게 음량을 낮춘 뒤 악보를 오디오 파일로 저장하고 다시 음량을 정상화 시킨 뒤에 들어보면 이제는 제대로 나올 것이다. 혹 너무 소리가 작게 저장될 경우도 있는데 이럴 때는 사운드 포지나 골드웨이브같은 프로그램으로 볼륨을 키워주면 된다.

여기서 [볼륨 컨트롤] 패널은 전체적인 볼륨을 조절하는 곳이고 [웨이브] 패널은 여러가지 음 중에서 오디오 파일의 음량을 조절하는 곳이다. 그 외에 위 화면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마이크] 패널은 컴퓨터와 연결된 마이크의 음량을 조절하는 곳이고 [SW 합성] 패널은 미디 파일의 음량을 조절한다. [SW 합성]의 음량을 최소화 시킨 뒤 피날레나 앙코르같은 사보 프로그램으로 악보를 연주해보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이런 프로그램들의 연주는 미디 연주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윈도우 상에서 (특히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로) 미디파일을 연주하다가 일시정지를 누르면 이 [SW패널]의 볼륨치가 최소화된다. 이 상태에서 악보 프로그램으로 악보를 연주시키면 당연히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으니 이 점도 유의하도록 하자.

근데 종종 이렇게 해도 소용이 없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땐 그냥 속폄하게 곰녹음기로 녹음해 버리자 -.-


(2) 2부

2부에서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입력
가사 입력시 밑줄 제거
여러가지 잇단음표 입력 (보표단 마지막 마디에서의 버그 주의)

* 여백
페이지 여백
스태프 여백 (가사를 위한 공간 확보)

* 연주
악기 설정
플레이백 설정

* 기타
마지막 마디 자동생성 해제
악보 중간에 못갖춘 마디 만들기
선택 툴 (Ctrl + Shift + A)
템플릿

* 보충
 1) 가사
 2) 보표의 뮤트/솔로


참고로 앙코르 파일을 피날레로 불러올 수도 있는데, 본인의 경우 청음할 땐 앙코르로 하고 악보 제작이 끝나면 피날레로 정갈하게 다시 작업한다고 했다. 앙코르로 완성된 악보를 피날레로 키보드 두들겨가며 다시 찍는게 아니라, 앙코르 파일을 피날레로 불러 들여서(import!) 간단한 수정만 해 주는 것이다. 이처럼 피날레는 다른 프로그램의 파일들을 불러올 수도 있다. 그 방법에 대해서는 반주법 강좌 제 6강에서 동영상으로 설명하고 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 강좌를 마치면서...

지금까지 피날레에 대한 내용을 강의했다. 이 정도면 최소 피아노 악보를 다루는 사람 입장에서 무리없이 피날레를 다룰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다른 악기, 예를들어 기타 탭을 입력하는 방법도 있던데 앙코르 강좌에서와 마찬가지로 이것은 본인이 기타에 대해 문외한이라 그냥 넘어갔다.
그럼 이로써 피날레 강좌를 모두 마치도록 하겠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출처 : sanatana
글쓴이 : i1iru 원글보기
메모 :